어느 공장에서 다른 공장들과 마찬가지로 조명 장치를 전구 대신 형광등으로 바꾸었습니다.
간부들은 종업원들이 아주 즐거워하리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기대외는 정반대로 불평이 많았습니다.
'형광등을 장치하면서부터 눈에 결막염이 생겨 일이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두통이 심해서 견딜 수가 없습니다.'
이렇게 호소해오는 자가 줄을 이었습니다.
그들은 자체적으로 형광등에 관한 조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습니다.
'형광등은 눈을 피로하게 만들고 작업 능률을 저해한다.'
작업원들은 형광등을 전구로 다시 바꾸어 달라고 건의서를 제출했습니다.
간부들은 놀라서 의학적인 규명에 나섰습니다.
그러나 원인은 형광등에 있지 않다는 사실이 판명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능률은 점점 떨어졌습니다.
회사에서는 즉시 종업원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만들었습니다.
각 과에서 대표를 뽑아 이 문제를 토의시켰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뜻밖에도 급전직하로 해결되었습니다.
'해결책을 종엄원들과 상의했다는 것'
이것이 바로 해결책이었습니다.
위의 내용은 학자들의 실험 결과로도 입증되었습니다.
1924~1932년까지 미국 웨스턴 일렉트릭의 호손 공장에서 조명 실험, 조립 작업 실험, 면점 실험 등
작업 능률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험에서 얻은 몇 가지 결론 중에서
노동자의 작업 능률은 단순히 물적 작업 조건에 의해서 단순 직점적으로 나오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노동자의 감정에 의해서 좌우된다는 것이 밝허졌딘 것입니다
관리자는 시간 관리의 은행가가 되어야 하고 부하의 인성 관리의 은행가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만
공적이건 사적이건 참여의식의 중요성을 인식하라는 것입니다
어떤 조사에 의하면 폭력 학생들의 대부분은 머리가 좋지만 모두가 고독하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그들 가정은 대부분 부모가 불화중이거나 형제나 자매간에 마음의 교류도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스스로 따뜻하게 보아주지 않는다고 생각하거나 이해해주지 않는다고 믿어버린다고 합니다.
직장에서도 부하가 고독한 존재가 되지 않도록 항상 따뜻하게 보살퍼주고 대화를 나누고 들어주어야 합니다.
그래야만 사회적 고독감은 해소되고 조직과의 정신적 유대감이 싹터 나올 수 있기 패문입니다.
그래서 조회나 회의를 자주 가져, 공식적인 안건 이외의 신상에 관한 정보도 알아야 한다는 이야깁니다